고려 때 몽골의 침략을 피해 강화도로 도읍을 옮긴 조정에서는 임금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전등사 안에 가짜 궁궐을 지었다.
이후 몇 차례의 화재를 겪으며, 전각이 모두 소실됐고, 1621년 2월에 옛 모습을 되찾아 지금에 이른다.
전등사가 자리한 정족산에는 사적 제130호인 정족산성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이 석성(石城)은 단군의 세 아들이 쌓은 성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등사 (대한민국 여행사전, 2009.03.20, 터치아트)
울창한 나무 아래로 한참을 걸으면 대조루에 닿는다.
전형적인 산지 가람배치를 따르고 있는 전등사는 보물 제178호인 대웅전이 정남을 향하고 있다.
전등사에 관한 기록은 고려 원종 5년(1264) 5월 삼랑성 가궁궐에 불정도량과 오성도량을 4개월간 시설케 하고 법회를 열었다는
그 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정화궁주가 송나라에 스님을 보내 대장경을 인출해 오던 시기는 강화에서 개경으로 환도한지 12년 뒤인 1282년이었다.
숙종 4년(1678), 조정에서 실록을 보관하기 시작해 사고(史庫) 역할을 하면서 전등사는 조선왕조와 더욱 깊은 연관을 맺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등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7 - 경기남부와 남한강, 초판 1996, 15쇄 2012, 돌베개)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정족산성 내부의 전등사(傳燈寺) 서쪽에 있었으며, 실록의 보관이 중심 업무였다.
강화도에 사고가 운영되기 시작한 것은 1595년(선조 28)이었다.
임진왜란으로 춘추관(春秋館)과 충주(忠州) ·성주(星州)의 사고 불타고 유일하게 남은 전주(全州)사고의 실록이 해주(海州)를 거쳐
강화부 관아 건물에 보관되었던 것이다.
그 후 그것은 다시 영변의 보현사(普賢寺)와 객사(客舍)을 거쳐 1603년 새로 설치된 강화도 마리산(摩利山)사고에 옮겨져 복간되었다.
정족산사고는 1653년(효종 4) 마리산사고에 화재가 일어남으로써 건립이 추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효종대 이후로 강화도가 국가의 위기에 대처할 기지로 적극 개발되었으므로 그 곳에 사고를 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1660년(현종 1) 정족산성이 완성되고 실록을 성 내의 사고로 옮기라는 명령이 내려졌을 때 관례대로 장사각(藏史閣)과 함께 선원각(璿源閣)이 세워졌다.
그러나 실제로 이 사고로 실록이 옮겨진 것은 1678년(숙종 4)이었다. 이후 실록이 새로 만들어지는 대로 1부씩 보관하였
고 그 밖에 왕실 족보나 의궤(儀軌)를 비롯한 여러 정부문서를 함께 보관하였다.
춘추관에 소속되어 그 곳에서 관장하였으나 현지의 관리는 수호사찰인 전등사에서 맡았다.
정조대에 강화부 관아 위쪽에 외규장각(外奎章閣)이 설치되어 국왕의 초상화나 친필 외에 많은 서책이 보관되었지만,
이 사고는 그것과 별개로 계속 운영되었으며 외규장각과 달리 병인양요 때 피해를 입지 않았다.
1910년 이후 보관 서적들은규장각도서들과 함께 조선총독부 학무과 분실로 모여져 함께 관리되었고 지금의 서울대학 규장각도서로 이어졌다.
건물은 1930년경에 없어진 것으로 보이며 장사각과 선원각의 현판만이 전등사에 보관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족산사고 [鼎足山史庫] (두산백과)
1986년 4월 1일 강화군 향토유적 제11호로 지정되었으며 전등사에서 소유와 관리를 맡고 있다.
궐터는 전등사 경내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가궐은 1259년(고려 고종 46) 풍수도참가 백승현의 건의로 고종이 세웠는데,
궁궐 건물은 몽골군의 칩입으로 불에 타 없어졌으며 지금은 넓은 궐터만 남아 있다.
당시 고종이 백승현에게 가궐터를 하문하자 삼랑성 및 신니동에 가궐을 지으면 나라가 부강해져 주변국들이 조공을 바치게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에 대장군 조문주, 국자제주 김구, 장군 송송례 등이 왕의 명을 받들어 가궐을 건립하였으며
왕이 거처하지 않을 때에도 금침을 깔고 의복을 놓아두었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족산가궐지 [鼎足山假闕址] (두산백과)
'다녀온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보령 오서산 1 (0) | 2014.12.21 |
---|---|
전등사 정족산성 2 (0) | 2014.12.05 |
[스크랩] 양평 청계산 2 (0) | 2014.11.29 |
[스크랩] 양평 청계산 1 (0) | 2014.11.29 |
[스크랩] 전북진안 운장산 2 (0) | 2014.11.23 |